728x90

"사진은 다게르의 의해 발명되었음이 1839년 8월 19일 프랑스 정부에 의해 발표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는 다게레오타입이라 불리는 사진술이 프랑스 정부에 의해 특허를 받은 날짜일뿐 사진이 발명된 날짜는 아니다. 사진은 빛을 기록하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볼때 사진의 원리는 이미 기원전 이전부터 '발견'되어 있었다.

 

빛을 포착하여 사물을 반영하는 장치는 이미 BC4세기경 아리스토 텔레스가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것은 우리가 어릴적 가지고 놀던 바늘구멍 사진기와 같은 원리로서, 15세기 들어서 '카메라옵스큐라'라 불리우며 여러방면에서 사용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최초의 카메라옵스큐라도해(좌), 옵스큐라를 이용한 정물화 작업장면(우)

 

즉 사물에 반사된 빛을 벽에 정착시키는(일시적으로) 방법과, 이것을 인간의 힘으로 정착시키는 방법(덧그리는) 등 사진 혹은 사진과 유사한 방법은 이미 오래전에 발견, 발명된 것이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사진의 개념, 즉 종이위에 인화된 사진과 비슷한 형태의 사진의 발명은 이로부터 한참후인 19세기에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시기에 사진발명에 뛰어들었던 여러사람의 이야기를 해보겠다.

 

사진을 최초로 발명한 사람은 니세포르 니엡스다. 니세포르 니엡스가 최초의 발명자가 된 까닭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사진의 작가이기 때문이다.

 

발명가였던 니엡스는 그의 형과 1815년 감광판에 사진을 새기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이는 매우 불안정한 것으로 지금의 사진이라 부르기는 힘든 것이었다. 형은 단념하였고 동생이었던 니엡스는 연구를 계속해 1816년 최초의 네거티브 사진을 완성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816년 5월 28일 니엡스가 카메라를 암실 창가에 놔둔 8시간 동안 빛이 카메라로 침투한 것이다. 니엡스는 이 이미지를 인화지에 고정시키는데 성공했는데, 이것이세계최초의 네거티브 사진이다. (이 사진의 촬영연도는 책마다 23년, 26년, 27년 등으로 차이가 있는데, 프랑스의 통신사 시그마의 자료를 인용합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니엡스는 이로부터 6년후인 1822년 유리위에 유태아스팔트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세계 최초의 포지티브 사진을 촬영하는데 그것이 오른쪽에 있는 'SET TABLE'이다.

 

이로서 니엡스는 오늘날 우리가 사진이라 줄여서 흔히부르는 눈에 보이는 명암과 인화물의 명암이 같은, 포지티브 방식의 사진을 발명해 낸 것이다.

 

니엡스는 이를 해리오그라피라 명명하였다.

 

 

니엡스가 이 사진의 발명 과정에서 만나 공동연구를 한 것이 바로 다게르이다. 다게르는 니엡스가 해리오그라피의 개량에 힘을 쏟고 있을때 감광기술에 매진했고, 이후 수은 증기가 현상을 돕는 다는 것과, 식염의 포화용액이 사진이 변한다는 것을 발견해냄으로서 현상과 정착이라는 현대사진의 중요한 두가지 기술을 발견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를 통하여 다게르는 노출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었고 1837년 이 기술로 단지 30분의 노출만으로 [탕플대로의 풍경]이라는 제목의 위의 사진을 만들어 낸다.

 

다게르는 프랑스 하원의원이던 아고라를 만나 자신의 경제난을 설명하며, 자신의 위대한 발명을 프랑스 정부가 사들일것을 요청하고, 역시 과학자이자 정치가이던 아고라는 사진이 가진 기술적 혁명성과 대중적 예술성을 간파하고 이를 프랑스 정부가 사들일 수 있도록 함으로서 다게르는 사진의 발명가라는 명예와 사진으로 인한 부를 동시에 얻게된다.

 

이 과정에서 니엡스의 업적은 다게르의 업적으로 포장되고, 니엡스의 아들은 프랑스 정부로 부터 종신연금 4천프랑을 받는 것으로 그 업적에 대한 초라한 보상을 받았다.

 

사진의 발명에서 빼놓을수 없는 또 한명은 영국의 탈보트이다. 탈보트는 아직도 영국이 사진의 최초 발명가로 주장하고 있는 사람이다. 그리고 분명 다게르보다 일찍 사진을 발명하였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탈보트는  1835년에 이미 영상포작의 원리를 발견하고, 1836년에 칼보타입이라 불리는 종이인화 기술을 이용한 사진제작에 성공하였다. 이 칼보타입은 한번 촬영으로 여러장을 인화하는 현대사진의 네거티브 현상, 포지티브 인화의 모태가 되는 중요한 기술이었다.

 

부유한 과학자였던 탈보트는 이 기술을 공표하거나, 특허신청을 하는 것을 게을리함으로서 최초발명자의 명예를 잃었을 뿐 아니라, 최초 개발국의 위상역시 프랑스에게 넘겨주었다. 하지만 탈보트의 이 기술은 현대사진의 발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또 한명의 비운의 발명가는 프랑스의 이폴리트 바이야르다. 바이야르도 다게르와 비슷한 시기 종이위에 포지티브 이미지를 얻는데 성공하였고, 역시 하원의원 아고라에게 자신이 최초의 사진발명가라고 주장하였으나, 다게르의 은판위의 선명한 사진에 이미 현혹된 아고라는 바이야르에게 단지 600프랑을 지원하였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에 격분한 바이야르는 보복하기 위해서 1840넌 세느강 시체처리소에서 물에빠져 죽은 사람의 시체처럼 연출하여 사진을 촬영한 다음, 사진의 발명자에서 자신이 제외된 것에 격분하여 유언과 함께 자신이 자살하였다고 소문을 내었다.

 

이 소문은 큰 위력이 없었으나, 이 사진은 세계최초의 셀프 포트레이트로 기록되었다. 최근의 셀프직찍의 선구자인 셈이다.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사진은 발명되었나, 발견되었나?

 

'기록'에 의하면 사진을 최초로 '발명'한 사람은 프랑스의 다게르로 .1839년에 프랑스 정부에 의해 사진의 '발명'이 선포되었다. 이것이 사진의 정말 사진은 발명된 것이고, 발명자는 다게르라는 것을 증명해주지는 못한다.

 

현실속의 사진을 놓고 이야기 해보자. 우리의 핸드폰 속에 저장되어 있는 사진, 컴퓨터 바탕화면에 띄워져 있는 사진, 인화되어 액자속에 걸려있는 사진, 옷에 프린트되어 있는 사진은 모두 사진일까? 더 나가서 컴팩트디카로 사진을 찍기전 액정에 나타나는 이미지는 사진일까 아닐까? 그럼 이 액정에 나타나는 이미지와 셔터를 누른 이후 메모리 카드에 저장되는 이미지는 무슨 차이가 있을까?

 

이 글을 읽는 당신이 위의 질문들에 대해서 이러한 것은 사진이 '맞다'고 대답한다면 맨처음의 명제인 사진은 '다게르에 의해서 발명되었다'를 부정해야 한다.

 

1839년 다게르가 발명한 것은(실상은 다게르가 발명한 것도 아니지만) 은판술이라는 사진을 은판위에 정착시키는 기술이었다. 비슷한 시기 바이야르가 발명한 종이양화술, 즉 종이에 사진을 정착시키는 방법은 매몰차게 사진의 발명에서 부정 되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진의 발명가로 알려진 다게르(위)와

1838년 촬영된 최초의 다게레오 타입의 사진 [탕플대로의 전경](아래)

 

가령 당신이 디지털이미지들을 부정하고 흔히 우리가 아는 종이에 인화된 사진만이 사진이라고 생각한다 하더라도 사진의 발명자는 다게르가 아니라 바이야르, 아니 이보다 빨리 1836년 경에 종이에 사진을 정착시킨 영국의 탈포트가 되어야 한다.

 

또 하나, 컴팩트디카의 액정에 사진을 '찍기' 전에 나타나는 영상은 사진일까 아닐까? 물론 렌즈를 통해 들어온 빛이 여러 장치의 도움으로 액정에 표시되는 방식은 셔터를 누르기 전과 후가 다르지 않다. 셔터를 누르기 전과 후는 저장이 되느냐 안되느냐, 단지 영구성을 지니느냐 아니냐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그럼 영구성이 사진의 기준일까? 사진을 일주일 정도만 쨍한 태양아래 두어보자. 두가지를 알 수 있다. 자신이 좋은 사진관에서 인화를 했는지, 그리고 인화된 사진은 시간이 지나면 변한다는 것. 즉 기간이 길 뿐 영구성은 없다는 이야기다.

 

말꼬리를 좀 잡아서 보면, 그럼에도 사진은 일정시간 지속되는 것이라고 강변한다면, 이런경우는 어떤가? 정지되어 있는 물체를 삼각대 위에 카메라를 세워놓고 촬영을 하지 않고 액정으로 응시한다면 이 역시 카메라의 배터리가 나가기 전까지 일정시간 지속된다. 그럼 이것은 저장되지 않아도 사진인가?

 

말꼬리에 말꼬리를 잡아서 이야기 하려는 것은 사진이란 피사체에 반사된 빛을 어딘가에 투영하는 것이며, 이럴때 사진은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사람들은 일찍이 사물은 반짝이는 물체에 반영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우리는 호수가 풍경을 반영하는 것을 발견한 것처럼 말이다.

 

이 현상을 인위적으로도 가능하게 한것이 바로 사진이다. 우리가 바늘구멍 사진기라 흔히 알고있으며 '카메라'라는 말의 어원이된 '카메라옵스큐라'는 특정조건에서 사물이 그모습 그대로 투영되며 이를 인위적으로도 만들수 있다는 것을 발견한 것에 기초해서 이것이 가능한 장치를 '발명'한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어릴적 가지고 놀았던 바늘구멍 사진기에서 처럼 카메라옵스큐라는 사물을 투영한다. 특정장치에 의한 사물의 반영은, 사진의 '발명' 훨씬 이전인 bc4세기 그리스의 아리스토 텔레스가 사용했다는 기록에서 부터, 15세기 르네상스 시대에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원근법을 실험하기 위해 혹은 화가들이 사물을 정밀하게 묘사하기 위해 옵스큐라에 투영된 이미지 위에 종이를 대고 덧그리는 용도로 사용하였다.

 

사진은 발견되었다. 사진이란 빛이 만들어낸 그림인 것이다. 사진발명가 중 한명인 탈보트가 명명한 '광선화 photographic drawing'라는 단어를 사용한 이유이기도 하다. 사진은 반영되는, 빛에 반응하는 과학적, 화학적 원리를 발견한 것에 종속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것을 결과물로 만드는 많은 방법들이 발명되었다. 이제 사진은 은판에 종이에 티셔츠에 심지어는 디지털신호로도 기록된다. 그리고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이 인화방법을, 저장방법을, 그리고 기계적 여러 방법들을 발명해낸 것이다.

 

 

 

* 다음 연재에서는 사진발명과 연관된 여러명의 사람들과 뒷애기를 해볼까합니다.

* 부족한 연재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퍼가실때는 덧글이라도...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